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신장애인 인권 옹호 활동 '크레센도' 태화샘솟는집은 2009년부터 회원들의 인권을 옹호하기 위한 활동을 지속해왔습니다. 2011년부터는 그러한 활동의 연속선 상에서 회원들의 이야기를 사회에 알리고 비장애인들과의 접촉경험을 확대시키기 위한 당사자 인권 강사 활동인 '크레센도'를 진행해왔습니다. '크레센도'라는 단어의 뜻처럼 회원들의 회복과 일상의 이야기들이 사회에 점점 크게 알려질 수 있도록 다양한 사회복지시설 및 유관기관, 학교 등에서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더보기 교육/훈련 클럽하우스 샘집 “교육을 통해 클럽하우스의 철학과 가치를 나눕니다.” 클럽하우스 교육기관 샘솟는집 클럽하우스 교육훈련기관은 전 세계 10개소가 있으며, 태화샘솟는집은 아시아지역의 유일한 국제교육훈련기관입니다. 2002년 이후 현재까지 90개 기관에서 241명이 교육에 참석하였습니다. 클럽하우스 교육훈련의 종류 3주 훈련 & 2주 훈련 클럽하우스를 운영하고자 하는 기관에서 회원, 직원이 함께 3주간 / 2주간 교육과정에 참여하게 됩니다. 클럽하우스 모델을 직접 경험하고 토론하면서 각자 기관에 클럽하우스를 적용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교육훈련기관에서는 6개월~1년 후 훈련 받았던 기관을 방문하여 훈련 중 세운 계획에 대한 실천을 점검합니다. 취업 훈련 각 클럽하우스의 취업 담당부서 회원, 직원이 참.. 더보기 클럽하우스 클럽하우스 소개 “건강한 삶을 회복하고, 누리기 위해 함께 노력합니다.” 1999년 세계심리학회에서 Best Practice로 선정 미국 SAMHSA’s National Registry of Evidence Based Practices(NREBP) 취업ㆍ삶의 질ㆍ회복 부분에서 증거기반 실천으로 등록됨 (그림을 클릭하시면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클럽하우스 역사 클럽하우스 1944년 미국 뉴욕에서 10명의 정신장애인들이 형성한 자조모임인 WANA(We Are Not Alone)가 그 전신이며 지역사회재활모델의 하나로 약 30개국에 300여개의 클럽하우스가 있습니다. 또한 건강한 클럽하우스 운영 및 확산을 목적으로 클럽하우스 인터내셔널(Clubhoues International)이 설립되어 전 세계의 클럽하.. 더보기 김중한 후원자님 어떻게 후원하게 되셨나요? 아들이 정신장애인 관련 일을 하게 되면서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작은 돈이긴 하지만 투명하게 회원들을 위해 필요한 곳에 쓰여졌으면 좋겠습니다. 샘솟는집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특별히 바라는 점은 없지만 후원을 신청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집에 소식지와 함께 손으로 만든 감사카드를 받았습니다. 굳이 챙겨주지 않아도 되는데 이렇게 챙겨주니깐 고마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관심갖고 살펴보니 주변에 정신과적인 어려움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아프다는 이유로 사회에서 소외되는 그 분들에게 관심을 갖고 힘을 보태주셨으면 합니다. 자원봉사도 좋겠고 작은 금액이지만 후원을 통해 응원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더보기 (주)한국얀센 (주)한국얀센 정진성 CNS영업본부장(오른쪽), 태화샘솟는집 송정민씨(가운데), 김지현씨(왼쪽) “만남과 관계에 기반한 가치있는 사회공헌 활동을 꿈꿉니다.” 현재 한국 얀센에서 실천중인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서 소개해 주시겠습니까? 가장 대표적인 활동으로 샘집과 함께하는 “Peace in Mind”로 정신질환을 가진 분들이 지역사회에서 존중받는 삶을 살아가는데 일조하고자 일정 부분의 금액 지원을 기반으로하여 직원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자원봉사를 통해 실천하고 있습니다. 더하여 정신질환을 가진 분들의 자녀를 위한 폴 얀센 장학금 사업을 들 수 있습니다. 한국 사회공헌활동을 실천함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핵심 가치는 무엇인가요? 저희의 핵심 가치는 모기업인 존슨앤존슨으로부터 시작된 Our Credo(우리.. 더보기 이전 1 ···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